전화문의 : 070-4079-6875
유튜브채널방문 : www.youtube.com/channel/UCoLaPiePiyqfmNA6QUQanqQ?view_as=subscriber
상담신청서 : https://forms.gle/YDiJ233VL2QPhuLH6
외도는 부부관계에서 부적절한 행위인 것은 분명하지만, 외도를 바라보는 시각에 있어서 도덕성의 문제로 바라보는 것은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윤리적으로나 도덕적으로 의식이 있는 분들도 외도를 한다. 그렇다면 이런 분들은 도덕성이 낮아서 벌어지는 것일까?
나는 이런 관점보다는 외도는 충동에 대한 절제력, 자제력, 그리고 자기통제력의 문제로 본다. 그리고 이러한 충동에 대한 조절능력이 떨어진 분들의 경우, 한 번 외도에 빠지면 쉽게 빠져 나오지 못한다. 왜냐하면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뇌가 외도를 통해서 얻은 쾌감, 즐거움, 그리고 만족감에 빠져 버리기 때문이고, 막상 외도에서 벗어나려고 하면 뇌가 저항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도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동기와 의지도 필요하지만, 외도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하다. 왜냐하면 동기와 의지는 영원불변이 아니고, 어찌 보면 순간적인 감정일 수 있다. 따라서 외도 발각 후에는 상황의 심각성, 그리고 이혼의 위기 등으로 인하여 외도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동기와 의지가 상승하지만,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동기와 의지는 약화된다.
결국 외도에서 벗어나기 위한 관건은 능력의 문제가 남는데, 여기서 능력이란 외도의 충동과 유혹이 다가올 때, 그리고 뇌가 외도의 쾌감, 즐거움, 그리고 만족감을 부를 때, 이러한 충동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아무리 각서를 쓰고, 약속을 하며, 추가적인 외도, 반복적인 외도를 하지 않으려고 해도, 충동을 조절하는 절제력, 자제력, 그리고 자기통제력이 부족하다면, 그것은 동기와 의지일뿐 더 이상의 변화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나는 외도를 도덕성으로 바라보는 것에 대해서는 고개를 가로 젓는다. 오히려 외도행위자의 충동조절력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 민감하고 명료한 탐색과 분석이 이루어져야, 외도의 충동, 외도의 유혹, 그리고 외도의 기회가 왔을 때 외도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외도행위자들도 외도와 관련된 개인상담, 부부상담, 혹은 가족상담까지 필요하지만, 많은 외도행위자들은 자신의 동기와 의지를 믿으며 능력 없는 도전을 시작한다. 결국 능력 없음으로 인하여 다시금 넘어지고 쓰러지는 경우, 외도피해자도 다시금 상처와 아픔을 겪겠지만, 외도행위자도 자신감, 그리고 자기효능감 등에서 좌절과 실망을 하면서, 결국 자존감 낮은 삶을 살아가게 된다.
그러니 외도를 도덕성으로 보지 말고, 도덕적으로 훈계하고 충고한다고 해서 변화될 것이라고 믿지는 말자. 그보다는 외도행위자가 평소 충동에 어떻게 반응하고, 어떤 전략으로 충동을 조절하는지 등등에 대해서 냉정한 탐색과 분석을 해 보고, 이를 통해서 변화의 시작을 도전해 보자.
'외도상담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도상담]외도상담에서 다루어야 할 4가지 (0) | 2021.01.10 |
---|---|
[외도상담]부모의 외도를 알게 되었습니다 (0) | 2020.12.18 |
[외도상담]외도행위자는 왜 허물어질까? (0) | 2020.12.15 |
[외도상담]외도부부는 이혼으로 끝낼까? (0) | 2020.12.13 |
[외도칼럼]배우자 외도와 성중독 (0) | 2020.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