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 90

[상담칼럼]분노를 표현하면 분노는 사라진다

전화문의: 070-4079-6875 동행심리상담센터 카카오톡 상담방: https://open.kakao.com/o/sizossgb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8d06N0HplKk 견적 의뢰하기: https://forms.gle/CxYyPYvt2BDu111S9 상담 신청을 위한 신청서 양식 저희 동행심리상담센터에 상담 신청을 위한 신청서 양식입니다. 아래 사항을 채워주시면 연락처로 연락을 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docs.google.com 센터장 신간 구입: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4742163 결혼은 환상이고 부부는 현실이다 - YES24 부부상담사가 수많은 부부를 만나고 그들의 얘기를 듣고 깨달은 ― 슬기로운 결혼생활 이야기부부는 천생연분..

심리상담칼럼 2022.02.21

[상담칼럼]분노하는 사람들

전화문의: 070-4079-6875 동행심리상담센터 카카오톡 상담방: https://open.kakao.com/o/sizossgb 유튜브채널: www.youtube.com/channel/UCoLaPiePiyqfmNA6QUQanqQ 사람을 살리는 동행심리상담센터 동행심리상담센터에서 운영하는 유튜브입니다 전화문의는 070-4079-6875로 해 주세요^^ 고맙습니다~ 공진수 센터장 자격증 및 저서 - 임상심리사 - 부부상담사 - 가족상담사 - 음악치료사 - 미술치료 www.youtube.com 견적 의뢰하기:https://forms.gle/CxYyPYvt2BDu111S9 상담 신청을 위한 신청서 양식 저희 동행심리상담센터에 상담 신청을 위한 신청서 양식입니다. 아래 사항을 채워주시면 연락처로 연락을 드리겠습..

심리상담칼럼 2022.02.04

[가족상담]가족정서의 중요성

전화문의: 070-4079-6875 동행심리상담센터 카카오톡 상담방: https://open.kakao.com/o/sizossgb 유튜브채널: www.youtube.com/channel/UCoLaPiePiyqfmNA6QUQanqQ 사람을 살리는 동행심리상담센터 동행심리상담센터에서 운영하는 유튜브입니다 전화문의는 070-4079-6875로 해 주세요^^ 고맙습니다~ 공진수 센터장 자격증 및 저서 - 임상심리사 - 부부상담사 - 가족상담사 - 음악치료사 - 미술치료 www.youtube.com 심리상담을 하다 보면, 각 가족마다 정서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떤 가족은 우울함이 강하고, 어떤 집은 불안함이 강하다. 이런 것을 가족정서라고 하는데, 가족정서는 가족구성원들에게 암묵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친..

가족상담칼럼 2022.01.18

[상담칼럼]분노의 품격을 보면, 그 사람의 인격을 알 수 있다

전화문의: 070-4079-6875 유튜브채널: www.youtube.com/channel/UCoLaPiePiyqfmNA6QUQanqQ 예약을 위한 오픈채팅방: https://open.kakao.com/o/sizossgb 국가에는 국격이 있고, 사람에게는 인격이 있다. 국격은 평소 잘 모르나, 위기 상황에 직면했을 때 알 수 있다. 국격이 있는 나라도 어려움은 겪을 수 있지만, 위기를 차분하게 대처하고 수습을 한다. 인격 역시 마찬가지이다. 평온할 때에는 인격이 고상하게 보여도, 그 사람에게 위기의 순간이 찾아 왔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보면, 그 사람의 인격을 알 수 있다. 특히, 여러 가지 감정 중에서 분노와 관련하여 그 사람의 분노품격을 보면, 그 사람의 인격을 알 수 있다. 분노라는 것은 여러..

심리상담칼럼 2021.10.07

[이혼상담]이혼상담은 언제 이루어지는가?

전화문의: 070-4079-6875 유튜브채널: www.youtube.com/channel/UCoLaPiePiyqfmNA6QUQanqQ 부부가 이혼을 한다는 것은, 결혼생활에 대한 기대, 희망, 그리고 열망 등이 사라진 것이다. 결혼이 새로운 삶의 시작이듯이, 이혼 역시 새로운 삶의 시작이다. 따라서 이혼을 하면 모든 것이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희망고문일 수 있다. 이에 이혼을 앞둔 분들, 이혼 과정에 있는 분들, 그리고 이혼을 하신 분들에게 이혼상담을 권하는 것이다. 그럼 이혼상담은 언제 이루어지는가? 이혼상담도 이혼과정과 비슷하다. 이혼결정 전 이혼상담, 이혼과정 중 이혼상담, 그리고 이혼 후 이혼상담이 각각 필요하다. 그런데 이렇게 3가지 이혼상담 중 이혼상담이 가장 필요한 시기는 언제일까..

부부상담칼럼 2021.09.28

[상담칼럼]분노중독

전화문의: 070-4079-6875 유튜브채널: www.youtube.com/channel/UCoLaPiePiyqfmNA6QUQanqQ 분노, 분노조절의 문제로 스트레스를 받는 분들이 있다. 이것은 분노를 잘 내는 사람도 그렇지만, 분노를 잘 내는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분들에게도 마찬가지다. 오죽하면 분노조절장애까지 있을 정도다. 그런데 오늘은 분노중독이라는 관점에서 이야기를 하고 싶다. 우리는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많은 것들을 학습하고, 그 학습이 반복되면 버릇이나 습관이 된다. 그리고 그 가운데에는 중독이라고 불러지는 경우도 있다. 중독이라고 하면, 의존 다음 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중요한 것은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것은 중독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비일반적이고 비정상적인 경우를 중독이라고 부른다. ..

심리상담칼럼 2021.08.26

[외도상담]외도행위자의 수치심

전화문의: 070-4079-6875 유튜브채널: www.youtube.com/channel/UCoLaPiePiyqfmNA6QUQanqQ 나는 이전 글에서 외도가 발각되면, 수치심을 자극한다고 했다. 수치심은 누구나 가지고 있다. 수치심은 태어나면서 가지게 되는 감정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수치심을 잘 느끼는 사람이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남성보다 여성들이 수치심을 더 잘 느낄 수 있다. 이에 외도행위자가 남성이냐 여성이냐에 따라 수치심도 다른 것 같다. 일반적으로 남성 외도행위자보다 여성 외도행위자가 더 수치심을 느끼는 것 같다. 외도와 직면한 부부가 부부상담이나 외도상담을 하게 될 경우, 남성 외도행위자들보다 여성 외도행위자들이 상담에 대해 더 저항적이다. 자신의 외도행위에 대한..

외도상담칼럼 2021.08.13

[외도상담]외도와 수치심

전화문의: 070-4079-6875 유튜브채널: www.youtube.com/channel/UCoLaPiePiyqfmNA6QUQanqQ 외도는 행위자뿐만 아니라, 피해자에게도 수치심을 준다. 인간의 감정은 수 십 가지 이상이지만, 그 중의 가장 힘든 감정을 손꼽으라면, 나는 두 가지를 손꼽는다. 그 중의 하나가 수치심이다. 성경에도 나오지만, 인간이 에덴동산에서 죄를 짓고, 가장 먼저 한 것은 바로 몸을 가리는 것이었다. 바로 수치심을 가리고 싶었다. 그래서 그런지 의식주에서 '의'가 가장 먼저 나오는 것도 이와 관련 있다. 그런데 외도 후 수치심은 행위자에게만 강한 것이 아니라, 피해자에게도 강하다는 것이다. 배우자가 외도했다는 것을 인지하게 되면, 홧김에 배우자의 원가족이나 피해자의 원가족에게 외도사..

외도상담칼럼 2021.08.05

[상담칼럼]우울과 불안

전화문의: 070-4079-6875 유튜브채널: www.youtube.com/channel/UCoLaPiePiyqfmNA6QUQanqQ 분노와 관련해서 하고 싶은 이야기가 참 많다. 왜냐하면 개인상담이나 부부상담 혹은 가족상담을 해 보다 보면, 분노로부터 자유로운 사람은 한 명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오늘은 분노와 관련된 우울도 함께 이야기를 하고 싶다. 우울과 분노의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우울과 분노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그래서 나는 우울은 분노가 자신에게 향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분노는 우울이 밖으로 폭발한 것이라고 주장을 한다. 따라서 우울한 사람은 자주 분노하지 않을 뿐, 내면에서는 분노가 강하게 존재할 수 있고, 분노하는 사람들은 우울함을 밖으로 폭발하면서 우울의 감정을 해결하려..

심리상담칼럼 2021.07.27

[상담칼럼]분노하면 말을 하면 말귀를 더 잘 알아 들을까?

전화문의 및 예약문의: 070-4079-6875 유튜브채널: www.youtube.com/channel/UCoLaPiePiyqfmNA6QUQanqQ 우리가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착각하는 것 중에는, 분노와 관련된 것들도 있다. 그 중의 하나는 오늘 제목처럼 분노하며 말을 하면, 상대방이 말귀를 더 잘 알아 들을 것이라는 착각이다. 결론적으로 이야기를 하면, 이런 생각을 가지신 분들의 경우, 분노를 자주 내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그 이유로는 분노하며 말을 하면, 상대방이 더 말귀를 잘 알아 듣더라는 것을 학습한 경우이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일단 분노하며 말을 하면, 상대방은 그 분노 때문에라도 말을 들을 수는 있다. 그러나 말을 듣는 것과 말귀를 알아 듣는 것은 다르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자. 부..

심리상담칼럼 2021.05.22